Untitled Document
 
 
 
 
 
 
작성일 : 14-12-31 11:12
자영업자 60% “창업준비 6개월 미만”
 글쓴이 : 열린창업투자
 
 
자영업자 60% “창업준비 6개월 미만”
3년내 절반이상이 망해
 
6개월도 채 준비하지 못하고 창업해 3년 내 절반 넘게 망한다.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자영업은 자영업과 경쟁한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자영업의 현주소를 이렇게 조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소기업청 조사 결과 자영업자의 60.4%는 창업 준비기간이 6개월 미만에 그쳤다. 창업 준비기간이 짧으면 소득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순이익이 150만원 이하 생계형 자영업자가 다수인 숙박·음식업, 소매업, 오락·문화·운동 관련 사업에서는 각각 72.5%, 69.8%, 68.5%였다.
 
준비 없이 창업한 자영업자들은 이내 과당경쟁에 시달리게 된다. 통계청의 ‘2004∼2009 사업체 생멸 현황 분석’에 따르면 연평균 60만개 사업체가 시장에 진입하고, 58만개가 퇴출당한다. 이 기간 도·소매업, 숙박·음식업, 제조업은 시장에 진입한 사업체보다 퇴출당한 곳이 많아 상대적으로 경쟁이 치열했다.
 
보고서는 “2010년 기준 자영업자 비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4위에 해당하는 28.8%로, 자영업자가 양적으로 과다한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대표적인 자영 사업업체인 미용실은 서울에 1㎢당 평균 36개가 밀집해 있다.
 
이렇다 보니 수익성은 떨어지고 빚은 늘 수밖에 없다. 업종별 월 평균 순이익을 보면 전기·가스·수도·건설업과 제조업, 정보·기술·사업서비스업을 빼면 다른 업종은 150만원에도 미치지 못했다. 생계형 자영업자가 대부분인 수리·개인서비스업은 41만원에 그쳤고, 부동산·임대업도 91만원에 불과했다.
 
자영업자 가구의 지난해 가계부채가 전년보다 1400만원(18.6%) 늘어난 8500만원에 달한 것도 이런 현실과 무관치 않다. 수익성 악화의 끝은 퇴출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자영업자가 창업 후 3년 동안 생존할 확률은 46.4%로 과반이 퇴출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를 작성한 김광석 선임연구원은 “자영업 위기의 주된 원인은 업자 간 과당경쟁인 만큼 정부는 창업보다는 재취업을 유도하고, 소득과 학력을 고려해 차별화된 자영업 진흥 정책을 펴야 한다”고 제안했다.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Me2Day로 보내기 게시글을 요즘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구글로 북마크 하기 게시글을 네이버로 북마크 하기 履쎌�蹂대궡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