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아이템 선택을 위한 십계명
창업에 대한 인식·태도, 창업활동, 창업열망 등을 조사하는 “글로벌 기업가정신 모니터(GEM·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의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생계형 창업 비중은 36%로 일본이나 싱가포르 등과 같은 혁신주도 경제권의 평균(18.3%)에 비해 2배 가량 높은 수준이다.
GEM은 직업을 선택할 수 있는 여지가 없어 창업을 선택한 경우를 “생계형 창업”으로 분류했는데 이는 우리나라의 생계형 창업 비중이 높은 것이 일자리가 없어서 대안으로 창업을 선택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소위 준비되지 않은 창업으로 생업의 전선으로 뛰어드는 창업자들이 많아지면서 이런 기이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인데 중요한 것은 생계형 창업자들의 생존율이 창업 1년 후 약 30%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있다. 특히 2014년과 대비하여 2015년 7월의 경우 감소한 10만 여명의 자영업자들은 대부분 영세자영업자였다. 영세자영업자의 창업을 살펴보면 비교적 진입 장벽이 낮은 도소매·음식숙박업에 몰려있는데 대형할인점이나 유통 체인점에 밀리고, 영세자영업자끼리 과열 경쟁에 치이고 있기 때문에 생존율이 더욱 감소하는 것이다.
너도나도 생계를 위해 창업은 하지만 막상 진입 장벽이 낮은 창업아이템을 선정하다보니 경쟁은 더욱 치열해진다. 성공적인 창업은 누구나 선택하는 아이템에 편승하는 것에 있기 보다는, 창업자가 만들어 나가는 것으로 접근방식을 바꾸어야 한다. 단순히 경험에서 우러나온 아이템 선정이 아니라 자신의 상황에 맞고 본인의 취향이나 적성에 적합한 아이템을 선정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창업을 견인할 수 있다.
요즘과 같은 창업자들의 수난시대에 조금이라도 안정적인 창업을 하려면 어떤 사업 아이템을 선택해야 할까. 어떻게 창업 아이템을 선정하면 생계형 창업이 안정주도형 창업으로 바뀔 수 있을까. 기본적인 창업 아이템 선정의 십계명이지만 이를 잘 활용한다면 창업에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1. 자신의 지식, 경력, 적성에 맞는 아이템을 선택하라
창업은 창업자의 성격에 맞는 아이템이 존재한다. 창업자의 경력이나 적성이 도움이 될 수 있는 아이템이 존재하는 반면 경력이나 도움과 전혀 관계없이 선택할 수 있는 아이템도 있다. 창업을 계획하고 있다면 창업 아이템으로 일을 몇 개월간 배워보는 것도 자신의 적성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2. 자신의 자본규모에 맞는 아이템을 선택하라
창업을 위해 무리하게 자금을 조달하는 경우가 많다. 창업은 가급적 자신의 경제상태의 범위 내에서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며 자금 조달을 계획하고 있다면 이에 대한 상환 계획도 꼼꼼히 살펴보아야 한다.
3. 점포가 확보되었다면 주변 상권을 살펴보고 입지에 맞는 아이템을 선택하라
상권마다 특성이 있다. 많은 창업자들은 상권에 맞는 아이템을 선택하려고 하지만 주변을 둘러보고 입지에 맞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4. 도입 초기 또는 성장하는 아이템을 선택하라
창업아이템은 성장과 쇠퇴를 반복한다. 유망하게 성장하고 있는 아이템이나 도입 초반의 아이템을 성장하는 것이 아이템의 선정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유망한 아이템을 살펴보려면 프랜차이즈 창업 박람회에 참가하여 여러 아이템을 살펴보는 것이 유리하다.
5. 나와 주변 사람들이 좋아할 수 있는 아이템을 선택하라
주변 사람들도 나의 고객이 될 수 있다. 창업 아이템은 나와 주변 사람들이 좋아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 선택하는 것이 가장 우선적이고 안전한 장치가 된다.
6. 상품의 회전율이 높은 아이템을 선택하라
테이블 단가가 낮으면 회전율이 높아야 하고 단가가 높으면 회전율이 낮아도 된다는 말이 있으나 상대적으로 회전율이 높을수록 많은 고객을 유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창업아이템이 회전율이 높은 아이템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7. 아이템에 대한 특별한 마케팅을 계획하라
마케팅에 대한 계획 없이 창업을 하는 창업자가 많다. 단순히 전단지를 돌리거나 쿠폰북에 광고를 싣는 것 정도만 생각하지 말고 아이템에 대한 마케팅 계획을 세부적으로 세워야 한다. 가게 컨셉, 점포 분위기 등 모든 요소를 고려하여 아이템만의 특별한 마케팅을 계획하라.
8. 누구나 좋다는 아이템은 피하라
이런 아이템이면 기본은 한다는 식의 조언은 자칫 위험할 수 있다. 누구나 좋다는 아이템이 나와 적성에 맞지 않는다면 도리어 독이 될 수 있다. 아이템 선정에 있어서 누구에게나 좋은 아이템은 없다. 항상 나의 여건과 적성을 고려해야 한다.
9. 취미와 연관되어 있는 아이템을 선택하라
창업자의 취미와 연관되어 있는 아이템일수록 창업자가 관심과 전문성을 기울일 수 있는 여지가 높다. 아이템에 대한 이해도도 높으며 마케팅 계획을 세우기도 수월하다. 하지만 무조건적으로 취미와 연관되어 있는 아이템이 좋은 것은 아니다. 앞서 말한 여러 계명들을 고려하여 아이템을 선택해야 한다.
10. 인기 있는 아이템이 아니라 성장가능성이 높은 아이템을 선택하라
반짝 열풍을 불러일으키다가 사라지는 아이템들이 많다. 분위기에 편승하여 아이템을 선택했다가 1~2년 사이에 고객의 방문이 뜸해지는 경우도 있다. 지금 인기 있는 아이템을 선택하기보다 성장가능성이 높은 아이템을 선택하라. 창업자에게 있어서 지금 보다 창업 후 6개월 뒤 또는 1년 뒤에 인기 있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